Preloader
한국통신학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ICT ConvergenceKorea 2023

INDEX

  • 인사의 말씀
  • 조직
  • 기조연설/특별강연
  • 프로그램
  • 등록/행사안내
  • 자료실
  • Past ICT Con.K
  • Keynote

    ///////
    기조연설/특별강연

    DAY 1 - 3월 15일(수) 강연

    KEYNOTE SPEECH 1   :   10:00-10:30 (30")

    CES와 MWC 2023으로 보는 혁신의 변화
    • 최재홍 교수
    • 강릉원주대학교

    • o 주요 약력
      - (현)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현) KB 금융지주 사외이사
      - (현) K-메타 이노베이션 어워드 위원장
      - (전) 카카오 사외이사



      CES 2023에서는 인간을 위한 기술, 그리고 지구를 위한 기술, 이름하여 Sustainable Technology를 강조하였다. 인공지능이 보편화되고 새로운 메타버스에 대한 논의와 웹3.0을 이야기한다. MWC 2023에서도 비슷한 논지를 이어가고 있다. 이렇게 기술을 인간의 불편함이나 환경, ESG를 강조하며 그 속에서 혁신을 이루기 위한 새로운 단말과 서비스를 알아보고 제시하고자 한다.

    KEYNOTE SPEECH 2   :   10:30-11:00 (30")

    네이버가 선보이는 사람과 기술의 연결, 공간의 전환
    • 곽용재 CTO
    • 네이버클라우드㈜

    • o 주요 약력
      네이버클라우드 CTO 2023 ~
      네이버 Clova CIC 책임리더 2018 ~ 2022
      네이버 Search CIC 책임리더 2016 ~ 2022
      네이버 검색시스템 랩장 센터장 2012 ~ 2016
      네이버 검색엔진개발 팀장 검색플랫폼 랩장 2006 ~ 2012
      네이버 데스크톱검색 팀장 2005~2006
      네이버 입사 2004~
      (박사) 고려대 컴퓨터학과 전산학 박사 1999 ~ 2004
      (석사) 고려대 컴퓨터학과 전산학 석사 1997 ~ 1999
      (학사) 고려대 지구환경과학 , 컴퓨터학과 1992 ~ 1997



      네이버클라우드는 세계 최고 수준의 AI 기술과 클라우드 원천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이며, 네이버의 첨단 미래 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을 현실화합니다. 네이버의 1784 신사옥은 단순한 사무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뛰어 넘어 로보틱스, AI, 디지털트윈, 5G, 클라우드 등 네이버의 첨단 기술이 집약된 테크 컨버전스 플랫폼이며, 네이버웍스를 통해 1784 신사옥의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연결하여 최적의 스마트 오피스 환경을 구현합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1784 신사옥을 통해 검증된 첨단 미래 기술을 사업화하여 스마트 빌딩이나 스마트 시티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SPECIAL SESSION 1   :   15:50-16:20 (30")

    데이터플랫폼 표준화와 전략
    • 김학래 교수
    • 중앙대학교

    • o 주요 약력
      - 공학박사, 아일랜드 국립대학교
      - 책임연구원, 삼성전자
      - 연구원, DERI, Ireland
      - JTC 1/SC32, ISO/TC46



      공공과 민간에서 다양한 데이터가 사용되고 있고, 문제해결을 위해 서로 다른 데이터가 융합되고 있다. 데이터 플랫폼은 대규모 데이터를 유통하기 위한 핵심 도구로 인식되고 있고, 데이터 제공자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표는 데이터 플랫폼 사이에서 데이터를 연계하고, 탐색하기 위한 방안을 소개한다. 특히, 데이터 플랫폼, 데이터세트 수준의 상호운용을 위한 표준의 필요성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사례로 설명한다.

    SPECIAL SESSION 2   :   16:20-16:50 (30")

    현실-가상의 혼합세계를 구현하는 차세대 메타버스
    • 임명환 원장
    • 한국AI블록체인융합원

    • o 주요 약력
      - (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T전략연구그룹장 등
      - (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전임교수
      - (전)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제13대 회장
      - (현) 한국에이아이블록체인융합원 원장



      ICT 네트워크 및 디지털 기반의 플랫폼 경제는 공급자와 수요자가 자유롭게 만나 소통하고 거래하여 편리하고 가치를 창출하지만, 거버넌스의 독과점과 플랫폼의 오남용 등으로 역기능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편 4차 산업혁명과 지능화 시대를 넘어, 정보주권이 강화된 맞춤형, 탈중앙화, 혼합세상, 토큰 이코노미 등의 특징을 갖는 웹 3.0 시대로 전환되면서 블록체인과 메타버스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우리가 사는 세상도 투명성, 공정성, 진본성, 가치성, 자율성, 효율성을 더욱 추구하고 있다. 본 발표는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플랫폼 경제의 역기능을 최소화하고 현실-가상 혼합의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차세대 메타버스를 제안하고 있다. 즉 현실과 가상의 연게성, 정보와 실물의 불일치, 참여와 소통의 신뢰성 등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시스템으로 실사 기반의 3D 메타월드인 “LeFra@BMW”를 소개하고 있다.

    SPECIAL SESSION 3   :   16:50-17:20 (30")

    양자 기술 : 과학에서 공학으로
    • 한상욱 단장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o 주요 약력
      - ‘06 KAIST 전기및전자공학 박사
      - ‘19 KIST 양자정보연구단장
      - ‘23 국과심 ICT융합전문위원
      - ‘21 과학기술진흥 국무총리 표창



      지난 100년간 기초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던 양자정보과학 분야가, 최근 ICT 기술과 접목되면서 급속한 산업화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세미나에서는 양자정보 분야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산업화 관점에서 기술 현황에 대해 발표한다. 그리고, 산업화 전환 시점에 나타나는 연구 개발 기회 분야에 대해 전망하고, 이에 따른 KIST 연구 현황을 소개한다.

    SPECIAL SESSION 4   :   17:20-17:50 (30")

    6G 시대를 여는 3차원 공간 네트워크 기술
    • 이문식 본부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o 주요 약력
      - ETRI 위성통신연구본부 본부장
      - Stanford 대학 Post-Doc
      - GIST 공학박사
      - 5G 포럼 오픈랜 WG 위원장
      - 한국통신학회 상임이사
      - 대한전자공학회 대전충남지부 지부장
      - TTA 표준화전략맵 분과장



      본 발표에서는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저궤도 위성통신 등 3차원 공간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우선 6G 핵심기술개발사업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그 중 3차원 공간 네트워크 기술과 관련된 6G 초공간에 대해 살펴보며, 5G 표준화에서 논의되고 있는 5G NTN(Non-Terrestrial Networks) 표준 동향에 대해 소개한 다음, 6G로 발전될 3차원 공간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전망하고 주요 R&D 현황 및 후보기술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DAY 1 - 3월 16일(목) 강연

    KEYNOTE SPEECH 3   :   10:00-10:30 (30")

    Quo Vadis AI? - ChatGPT의 가능성과 그 미래
    • 장병탁 원장
    • 서울대 AI연구원

    • o 주요 약력
      - 1997~현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인지과학/뇌과학/인공지능 협동과정 교수
      - 2019~현재 서울대 AI연구원 원장



      최근 인공지능은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초거대 AI에 기반한 ChatGPT가 등장하여 전문가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이 일상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시대에 돌입하였다. 앞으로 인공지능은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을 것인가?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지는 않을까? AI가 정말로 인간수준의 지능 즉 일반지능(AGI)을 갖출 수 있을 것인가? 인간을 넘어서는 수퍼지능에 도달할 수도 있을 것인가? 본 발표에서는 ChatGPT의 학습과 동작 원리를 살펴보고 현재 AI가 어느 수준까지 왔는지, 왜 놀라운지, 그리고 또한 그 한계는 무엇인지, 또한 이 한계를 극복하고 인간수준의 범용인공지능에 도달하려면 앞으로 어떤 기술이 더 개발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SPECIAL SESSION 5   :   10:30-11:00 (30")

    AI + 에너지: 탄소중립을 위한 융합연구
    • 김종권 교수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 o 주요 약력
      -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전산학 박사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온실가스 배출증가는 최근 심화되고 있는 기후위기의 주원인으로 주목되고 있으며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서 net-zero 상태에 이르는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업, 가정, 상업, 교통 분야 등 각 섹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를 전기화하는 electrification 이 유일한 해법으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전기에너지는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석탄, LPG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하여 탄소배출없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 뿐 만 아니라 간헐성이 높은 신재생 에너지원을 안정적인 공급원으로 재탄생 시키기 위해서 에너지 저장, 전환 및 수송 설비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발생할 것이다. 새 에너지 시스템은 각 분야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섹터 커플링을 핵심요소로 구성하게 되며 복잡도가 매우 높아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할 것이다. 이 발표에서는 신 에너지 시스템을 소개하고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신 에너지시스템에 적용한 사례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조망한다.

    SPECIAL SESSION 6   :   13:40-14:10 (30")

    국방 지능정보화 추진방향
    • 박남희 지능정보화정책관
    • 국방부

    • o 주요 약력
      - 국방부 지능정보화정책관(`20.12 ~ )
      - 국방부 대변인실 홍보과장(`19.2 ~ `20.12)
      - 미국 동아시아 연구센터(`18.1 ~ `19.1)
      - 정보화기획국 사이버정책과장(`16.2 ~ `17.2)



      국방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소개하고, 국방 지능정보화가 국가
      안보와 군사력 강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발표
      1. 국방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노력
      2. 전략적 자산으로서 양질의 국방 데이터 활용
      3. 혁신하는 국방 디지털 문화 확산 등
      4. 국방 디지털 기술 발전을 위한 생태계 조성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