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er
한국통신학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ICT ConvergenceKorea

INDEX

  • 인사의 말씀
  • 조직
  • 기조연설/특별강연
  • 프로그램
  • 등록/행사안내
  • 자료실
  • Past ICT Con.K
  • Program

    ///
    프로그램

    프로그램

    Track 1: 중회의실1 Track 2: 중회의실2
    13:30~15:00 등록 및 접수
    T1 Tutorial

    좌장: 노송 교수 (인천대)
    T2 Tutorial

    좌장: 유희정 교수 (고려대)
    14:00~15:20 T1-1
    트랜스포머 기반 통신: 시맨틱 인코더와 범용 디코더

    김용준 교수 (POSTECH)
    T2-1
    양자 ICT 이론 기초

    배광일 선임 (KISTI)
    15:20~15:40 Break

    좌장: 임승찬 교수 (한경국립대)

    좌장: 이준세 교수 (성신여대)
    15:40~17:00 T1-2
    6G 물리계층 핵심기술 및 관련 이슈

    이웅희 교수 (동국대)
    T2-2
    위성통신

    정동현 교수 (숭실대)
    시간 Track A: 대회의실1 Track B: 중회의실1 Track C: 중회의실2 Track D: 중회의실3 Track E: 중회의실4
    09:30~16:00등록 및 접수
    09:50~10:00인사말씀한국통신학회 허준 회장
    10:00~10:30 AI 시대, 우리의 대응전략백상엽 대표 (김앤장 법률사무소 AI&IT 시스템센터)
    10:30~11:00Next AI, 혁신 그리고 책임 있는 성장배순민 CRAIO/랩장 (KT AI Future Lab)
    11:00~11:10Break
    11:10~12:40 A1 최신인공지능기술

    좌장: 신사임 센터장 (KETI)
    B1 Tutorial

    좌장: 유희정 교수 (고려대)
    C1 AI로봇/제조

    좌장: 황정훈 센터장 (KETI)
    D1 모빌리티

    좌장: 박부식 센터장 (KETI)
    E1 융합 비즈니스

    좌장: 최용훈 교수 (광운대)
    11:10~11:40 A1-1

    장기 비디오 이해를 위한 VLM 발전과 응용

    문진영 책임 (ETRI)
    B1-1

    AI for RAN (Radio Access Network)

    이호원 교수 (아주대)
    C1-1

    제조공정 및 고위험 환경에서의 로봇 및 AI 활용 자동화 기술

    김진현 교수 (서울과기대)
    D1-1

    Beyond Vehicles: E2E가 만드는 새로운 자율주행 기술

    안종현 교수 (가천대)
    E1-1

    지역 소프트웨어산업 현황 및 지역주력산업 연계 성장 가능성

    하재빈 선임연구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11:40~12:10 A1-2

    Efficient AI: Resource and Data Efficient Deep Learning

    김수현 교수 (경희대)
    C1-2

    AI휴머노이드를 포함한 정부 로봇 R&D 정책방향

    박일우 PD (KEIT)
    D1-2

    자율주행 레벨4+ 상용화를 위한 평가·검증 동향

    김봉섭 실장 (KIAPI)
    E1-2

    디지털 시대에 맞이하는 양자통신

    노광석 대표이사 (㈜큐심플러스)
    12:10~12:40 A1-3

    상황인지와 멀티모달 인터랙션을 활용한 AI 복합대화 기술

    장진예 선임연구원 (KETI)
    C1-3

    KITECH 인간중심로봇연구부문 핵심기술 사례 소개

    안범모 부문장 (한국생산기술연구원)
    D1-3

    SDV Trend 및 HL 만도 대응

    정지현 상무 (HL만도)
    E1-3

    FriendliAI: 생성 AI 가속 플랫폼

    전병곤 대표이사/교수 (프렌들리AI/서울대)
    12:40~14:00Break
    14:00~15:30 A2 최신인공지능기술

    좌장: 최용훈 교수 (광운대)
    B2 Tutorial

    좌장: 임승찬 교수 (한경국립대)
    C2 AIoT

    좌장: 김영한 센터장 (KETI)
    D2 미래모빌리티

    좌장: 임채덕 본부장 (ETRI)
    E2 양자기술

    좌장: 김영희 센터장 (NIA)
    14:00~14:30 A2-1

    LLM 기초부터 AGI를 향한 최신 기술까지

    김인중 일반대학원장 (한동대)
    B2-1

    연합 학습 튜토리얼: 기본 원리, 모델 집계 방법 및 최신 연구 동향

    소진현 교수 (DGIST)
    C2-1

    AI 데이터 중심의 화물차 운송 안전 향상 기술

    박진욱 선임연구원 (KETI)
    D2-1

    도심항공교통(UAM) 국가전략기술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현황 및 전략

    김민기 단장 (UAM 국가전략기술사업단)
    E2-1

    양자난수발생기 활용 초신뢰 보안사례 및 사업화

    김택우 이사 (㈜이와이엘)
    14:30~15:00 C2-2

    AIoT 기반 전파예지모델을 활용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

    이경학 대표이사 (㈜워프솔루션)
    D2-2

    미래형 버티포트 설계, 구조, 건설 기준 등 연구개발 추진 현황 및 전략

    김현구 팀장 (현대엘리베이터)
    E2-2

    양자암호칩 기반 4K 민/군 무인이동체 초신뢰 통신 글로벌 사업화

    오세진 연구소장 (㈜파인브이티)
    15:00~15:30 C2-3

    레이다 플랫폼을 이용한 초고속 MIMO 후방산란 통신 기술

    김상길 교수 (부산대)
    D2-3

    AAM의 안전한 수직 이착륙 지원을 위한 Wi-Fi RTT 기반의 3차원 복합 정밀 측위 기술 개발

    조영수 실장 (ETRI)
    E2-3

    양자기술 활용 초정밀 양자센서 및 CCTV 암호화 솔루션 실증 사례

    정소기 매니저 (㈜SK브로드밴드)
    15:30~15:50Break
    15:50~16:20AI 시대가 요구하는 국가 역할과 한국의 정책 대응황종성 원장 (NIA)
    16:20~16:50오픈: 비즈니스 패권의 열쇠박수홍 오픈소스 그룹장 (삼성전자)
    16:50~17:20AI 시대, 국가 네트워크 정책 방향류제명 네트워크정책실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7:20~17:50ICT 융합 혁신을 위한 NST의 역할과 방향김영식 이사장 (NST)
    시간 Track F: 대회의실1 Track G: 중회의실1 Track H: 중회의실2 Track I: 중회의실3 Track J: 중회의실4
    09:30-16:00 등록 및 접수
    10:00~10:30 안전한 인공지능김명주 소장 (인공지능안전연구소)
    10:30~11:00혁신과 윤리가 공존하는 AI 시대이상욱 교수 (한양대)
    11:00~11:10 Break
    11:10~12:40 F1 국방

    좌장: 박혜숙 본부장 (ETRI)
    G1 공간미디어

    좌장: 김현식 센터장 (KETI)
    H1 스마트 농축수산

    좌장: 조성균 센터장 (ETRI)
    I1 우주

    좌장: 최용훈 교수 (광운대)
    J1 바이오/의료

    좌장: 신형철 실장 (ETRI)
    11:10~11:40 F1-1

    한국군 DevOps 플랫폼 구축 및 성공적인 클라우드 이전방향

    이형대 소령 (육군교육사령부)
    G1-1

    Data Dynamics for Digital Twin (데이터 동학과 디지털트윈)

    안창원 디지털융합 PM (IITP)
    H1-1

    DX시대, 미래 농업 기술동향과 과제

    이주량 선임연구위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I1-1

    입체통신 실현을 위한 6G 초공간 기술

    황유라 실장 (ETRI)
    J1-1

    첨단산업과 디지털헬스케어 융합의 시대

    이상호 약학대 학장 (제주대)
    11:40~12:10 F1-2

    합성전장환경 기반 통합전투훈련 플랫폼 기술 사업현황 및 발전방향

    권동호 수석연구원 (한화시스템)
    G1-2

    디지털콘텐츠-미디어 기술동향 및 R&D 추진방향

    이준우 콘텐츠·미디어 PM (IITP)
    H1-2

    생성형 AI를 활용한 해양수산연구프로토타입 개발

    마창모 본부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I1-2

    6G 위성 네트워크와 미래 전장의 초연결 전략

    조성환 교수 (육군사관학교)
    J1-2

    보건의료 산업 재도약을 위한 자세

    신재용 교수 (연세대)
    12:10~12:40 F1-3

    열악한 환경에서 센서 제어를 통한 객체 인식 기술

    김형신 조교수 (서울대)
    G1-3

    메타버스공간에서의 비언어적인 XR콘텐츠 상호작용 기술

    이금탁 전무 (㈜피씨엔)
    H1-3

    ICT 스마트축사의 현재와 미래

    김락우 교수 (국립공주대)
    I1-3

    6G 위성 네트워크 비전과 선행 기술 연구 사례

    김태연 선임 (LG유플러스)
    J1-3

    건강데이터와 디지털헬스케어의 융합 및 활용

    김영성 연구소장 (한국건강관리협회)
    12:40~14:00Break
    14:00~14:30AI로 인한 신약 개발 가속화김화종 단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14:30~15:00미래국방용 광ICT 기술 동향김영호 센터장 (한국광기술원)
    15:00~15:10Break
    15:10~16:40 F2 안전

    좌장: 정지범 교수 (UNIST)
    G2 표준

    좌장: 차순일 단장 (TTA)
    H2 스마트 도시/물류

    좌장: 안일엽 센터장 (KETI)
    I2 6G/AI-RAN

    좌장: 정용준 단장 (TTA)
    J2 탄소중립/에너지

    좌장: 박완기 실장 (ETRI)
    15:10~15:40 F2-1

    재난안전교육훈련 분야의 ICT 활용현황과 발전방안

    함승희 교수 (서울시립대)
    G2-1

    디지털 융합 시대의 글로벌 표준화 전략

    이승윤 본부장 (ETRI)
    H2-1

    초연결 스마트시티 고도화 추진 계획

    이정훈 교수 (연세대)
    I2-1

    3GPP 6G 기술 표준화 동향 및 전망

    이혜영 팀장 (TTA)
    J2-1

    탄소중립 견인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기술

    허태욱 실장 (ETRI)
    15:40~16:10 F2-2

    재난안전분야에서의 광센서 활용 기술 현황

    김정호 센터장 (한국광기술원)
    G2-2

    지속가능한 경제를 위한 데이터센터 표준화 동향

    황수찬 교수 (한국항공대)
    H2-2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보급 현황 및 구축 사례

    허원 실장 (스마트도시협회)
    I2-2

    6G 관련 O-RAN Alliance 표준화 동향과 기술 진화 방향

    안재현 책임 (LG유플러스)
    J2-2

    전력과 데이터 연계 방안

    손성용 교수 (가천대)
    16:10~16:40 F2-3

    오경보 방지를 위한 지능형 화재 센서 기술

    양회성 책임연구원 (ETRI)
    G2-3

    의료 ICT 국제표준화 동향 및 사례

    한태화 교수 (연세대의료원)
    H2-3

    스마트시티 국제 표준화 동향

    김용운 책임연구원 (ETRI)
    I2-3

    6G 혁신을 위한 AI-RAN 기술 동향

    장민 책임연구원 (삼성전자)
    J2-3

    항만탄소중립 동향 및 미래방향

    이태동 연구소장 (에코시안)
    16:40~17:00경품 추첨 및 끝맺음 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