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er
한국통신학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ICT ConvergenceKorea

INDEX

  • 인사의 말씀
  • 조직
  • 기조연설/특별강연
  • 프로그램
  • 등록/행사안내
  • 자료실
  • Past ICT Con.K
  • Keynote

    ///////
    기조연설/특별강연

    DAY 2 - 4월 9일(수)

    PROGRAM DOWNLOAD

    Keynote Speech   :   10:00-10:30 (30")

    AI 시대, 우리의 대응전략
    • 백상엽 대표
    • 김앤장 법률사무소 AI&IT 시스템센터

    • · (現) 김앤장 AI&IT시스템센터 대표
      · (現) 서울대 공대 산업공학과 객원교수(Enterprise IT분야)
      · (現)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 (前)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창업자/대표이사
      · (前) LG그룹 지주사 신성장사업부문 사장
      · 21년 대한민국 인공지능대상, 과기정통부장관상/IT서비스 혁신 대상, 행안부장관상


      현재 AI는 기업의 경영, 주거 생활 및 환경, 교육, 서비스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현재도 빠른 속도로 발전이 일어나고 있는 분야입니다. 먼저, AI 기술의 발전 및 현주소를 살펴보고, 향후 가까운 미래에 가능한 기술의 발전을 조망해보고, 이를 통한 응용 영역에서 변화를 조망해보고자 합니다. 이러한 AI의 급속한 발전은 통신공학 분야에도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AI 기술이 통신 인프라와 서비스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특히 5G와 6G 네트워크, 네트워크 최적화, 예측 분석, 그리고 보안 분야에서의 통신의 역할을 중심으로 미래를 조망해보겠습니다. 또한 급격한 AI 및 통신분야에서의 발전에 맞추어, 우리가 준비하고 대응해야 할 주요 전략적 주제와 방향성에 대해 제언드리고자 합니다.

    Keynote Speech   :   10:30-11:00 (30")

    Next AI, 혁신 그리고 책임 있는 성장
    • 배순민 CRAIO/랩장
    • KT AI Future Lab

    • · MIT CSAIL 박사(2009)
      · 삼성/한화테크윈 로봇사업부 AI개발팀장(~2017)
      · NAVER Clova AI 리더(~2020)
      · KT CRAIO / AI Future Lab 랩장(현재)
      · 한국공학한림원 컴퓨팅분과 정회원


      AI 혁신은 Generative AI를 넘어 Agentic AI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AI 에이전트는 환경과 사용자 요청을 이해하고, 디지털 또는 물리적 세계에서 실제 행동을 수행하는 Actionable AI입니다. Agentic AI는 자율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며, 스스로 학습하고 성장합니다. AI가 일상과 업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기술의 지속 가능하고 책임 있는 성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Keynote Speech   :   15:50-16:20 (30")

    AI시대를 위한 국가역할과 정책대응
    • 황종성 원장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 · (現)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원장
      · (前)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총괄계획가(MP)
      · (前) 서울특별시 정보화기획단장
      · (前) 정부3.0추진위원회 위원
      · 국민훈장 동백장


      인공지능(AI) 물결이 빠른 속도로 전 세계를 뒤덮으면서 사회·경제적 변화는 새로운 문명 충격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산업혁명과 정보화 과정에서 우리가 배운 경험은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고 패러다임이 변화할 때 최종 승자는 기술을 '잘 쓰는' 나라였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공지능 전환(AX) 시대가 요구하는 국가의 역할을 살펴보고 우리 정부가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조직으로 변하기 위한 정책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Keynote Speech   :   16:50-17:20 (30")

    AI 시대, 국가 네트워크 정책 방향
    • 류제명 네트워크정책실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美 카네기멜론대학교 정보시스템관리 석사
      · 행정고시 37회
      · 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정책국장, 정보통신산업정책관, 인공지능기반정책관
      · 前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추진단 추진단장
      · 現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


      그 간 인류문명과 대한민국 발전을 이끈 네트워크의 역사와 의의, 성과를 조망함과 동시에 AI 시대의 특징과 이와 연계된 네트워크의 특성을 고찰하여, 이를 바탕으로 AI 시대를 맞이하는 차세대 국가 네트워크 정책방향을 제시

    Keynote Speech   :   17:20-17:50 (30")

    ICT 융합 혁신을 위한 NST의 역할과 방향
    • 김영식 이사장
    •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 · 2020.05.∼2024.05. 대한민국 국회 제21대 국회의원
      · 2013.04.∼2017.04.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총장(제6대)
      · 2009.01.∼2011.11. 창업진흥원 이사장
      · 1994.03.∼2020.05.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과 교수
      · 美,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기계공학 박사


      과학기술 혁명과 시대의 변화에 따른 출연연 정책 제언

    Special Session   :   16:20-16:50 (30")

    오픈: 비즈니스 패권의 열쇠
    • 박수홍 오픈소스 그룹장
    • 삼성전자 오픈소스그룹

    • · 삼성전자 오픈소스그룹 그룹장
      · 리눅스 재단 보드 멤버
      · 한국오픈소스협회 회원
      · IETF/W3C 국제 표준 단체 워킹그룹 의장 (한국인 최초)
      · [저서] 오픈: 비즈니스 패권의 열쇠 (한빛미디어)


      딥시크로 AI 분야의 오픈소스가 이슈다. 과거에는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플랫폼 등의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던 오픈소스가 이제는 AI 뿐만 아니라 반도체, 하드웨어, 지도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이다. 기업과 국가가 막대한 인력과 자본을 투입하여 개발한 기술을 공짜로 오픈하는 이유는 결국 비즈니스 패권을 잡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오픈소스는 순수하지 않다"
      오늘 강연에서는 오픈소스에 숨겨진 진실을 살펴보고자 한다.

    DAY 3 - 4월 10일(목)

    Keynote Speech   :   10:00-10:30 (30")

    안전한 인공지능
    • 김명주 소장
    • 인공지능안전연구소(Korea AISI)

    •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사/석사/박사
      · 인공지능안전연구소(Korea AISI) 소장
      · 서울여자대학교 지능정보보호학부 교수
      · 한국저작권위원회 부위원장
      · OECD GPAI Expert Member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은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그러나 강력한 능력 만큼 잠재적 위험도 다양하고 심각하여, 인공지능과의 공존이 지속 가능할 지에 우려를 완전히 떨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잠재적 위험에 대한 정의와 평가, 이에 따른 안전 정책과 대안 기술을 글로벌 시각에서 살펴보고 인공지능 안전을 목적으로 세계에서 6번째로 설립된 한국 인공지능안전연구소(Korea AISI)의 역할과 기능도 알아본다.

    Special Session   :   10:30-11:00 (30")

    혁신과 윤리가 공존하는 AI 시대
    • 이상욱 교수
    • 한양대학교 철학과/인공지능학과

    •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이학사 및 이학석사
      · 런던대학교(LSE) 철학박사
      · 현 유네스코 세계과학기술윤리위원회(COMEST) 의장단
      · 현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안전신뢰 분과 위원
      · 전 한국과학철학회 회장


      본격적으로 AI가 생활 속으로 파고드는 첫 해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2025년의 시점에서 국제사회는 AI 연구 개발이 가져다 줄 수 있는 잠재적 혜택과 함께 다양한 윤리적, 사회적 위험에도 주목하고 있다. AI 시대의 바람직한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혁신과 윤리의 공존이 중요한데 현재 세계 각국은 이 공존의 구체적인 방안을 두고 경쟁과 협력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런 맥락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AI 전략이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해 논의한다.

    Special Session   :   14:00-14:30 (30")

    AI로 인한 신약 개발 가속화
    • 김화종 단장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K-MELLODDY사업단

    • ·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 KAIST 전기및전자과 (석,박사)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융합연구원장
      · KAIST IT융합연구소 겸직교수
      · 강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신약개발은 타겟 단백질 발굴, 후보 화합물 탐색, 약물 최적화, 전임상시험, 임상시험 등을 반드시 거처야 하며 이 과정에 AI 모델을 사용하여 신약개발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최근 구글, NVIDIA 등 빅테크 기업이 신약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AI 바이오가 미래 주요 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신약개발에 AI를 적용하는 전반에 대한 이해와 최근의 기술 동향, 그리고 향후 핵심 기술 방향을 소개한다.

    Special Session   :   14:30-15:00 (30")

    미래국방용 광ICT 기술 동향
    • 김영호 센터장
    • 한국광기술원 ICT융합연구본부 광정밀계측연구센터

    • · 광주과학기술원 정보통신공학과 박사 (2014)
      · 한국광기술원 광정밀계측연구센터 센터장 (2023~현재)
      · 한국광학회 포토닉스(광섬유/재료) 분과 위원장 (2021~2023)
      · 인공지능의날 유공 광주광역시장 표창 (2023)
      · 대한민국안전기술대상 행정안전부 장관상 (2020)


      국제사회의 분쟁이 지속되고 전쟁의 장기화 양상에서 전장의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ICT 기술은 국방분야의 핵심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그 중 빠른 속도와 넓은 대역폭, 우수한 보안성과 감지능력을 갖는 광기반의 ICT 기술은 미래 국방분야의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지상, 수중, 우주 영역의 전장에서 활용되고 있거나 활용이 예상되는 최신 광통신 기술과 광센싱 기술의 동향을 소개하고 미래 전장을 지휘하기 위한 광ICT 기술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