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 ||||||
---|---|---|---|---|---|---|
2021년 3월 17일(수) | ||||||
Track A: 보안/블록체인 |
Track B: 드론/로봇 |
Track C: 미디어/AR·VR/홀로그램 |
Track D: 에너지/환경 |
Track E: 스마트도시/홈/건설 |
||
10:00-10:30 | [Keynote speech 1] 좌장: 신요안 교수(숭실대) | |||||
10:00-10:30 | 기조강연1 4차산업혁명 시대의 대응전략윤성로 위원장(4차산업혁명위원회) | |||||
10:30-11:00 | [Special Session 1] 좌장: 이영로 본부장(NIA) | |||||
10:30-11:00 | S1 ‘비대면의 노멀’이 불러온 사회적 과제 구본권 선임기자(한겨례) | |||||
11:00-11:20 | Break | |||||
11:20-12:20 | Track A1 좌장: 김건우 실장(ETRI) |
Track B1 좌장: 진성근 교수(대구대) |
Track C1 좌장: 박영충 센터장(KETI) |
Track D1 좌장: 허태욱 실장(ETRI) |
Track E1 좌장: 조대연 단장(KAIA) |
|
11:20-11:40 | A1-1
데이터 안전활용 정책 동향
심동욱 센터장(한국인터넷진흥원) |
B1-1
로봇 R&D 정책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이준석 PD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C1-1
지식서비스 R&D와 실감형 기술
김돈정 지식서비스 PD (KEIT) |
11:20 - 11:50 | D1-1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수요관리 기술
전략
이상학 PD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E1-1
2021 스마트시티 추진 전략
박원호 사무관(국토교통부) |
11:40-12:00 | A1-2
블록체인의 보안 이슈 및 대응
기술
류혁곤 이사(아이콘루프) |
B1-2
로봇사업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현황 및 전망
이규빈 교수(GIST) |
C1-2
물리세계와 가상세계 동기화를
위한 IEEE 2888 표준화 동향
윤경로 교수(건국대) |
E1-2
'K-스마트시티와 데이터 전략: 도시, 데이터, 그리고 시민'
유은정 교수(연세대) |
||
12:00-12:20 | A1-3
블록체인 보안 표준화 동향
오경희 대표(티씨에이서비스) |
B1-3
휴먼케어 로봇을 위한 고령자
일상 행동 인식 기술
김도형 책임연구원(ETRI) |
C1-3
디지털 홀로그램 기반의 3차원
계측 기술 동향
임용준 책임(ETRI) |
11:50 - 12:20 | D1-2
4차 산업 혁명과
상하수도의 동거
이상협 에너지/환경 단장 (한국연구재단) |
E1-3
지표 기반의 스마트시티 인증
이재용 센터장(국토연구원) |
12:20-13:40 | Break | |||||
13:40-15:40 | Track A2 좌장: 최용훈 교수(광운대) |
Track B2 좌장: 최선웅 교수(국민대) |
Track C2 좌장: 이경택 센터장(KETI) |
Track D2 좌장: 김홍석 교수(서강대) |
Track E2 좌장: 김재호 교수(세종대) | |
13:40-14:00 | A2-1
6G 보안 요구사항 및 암호기술
개발 현황
이옥연 교수(국민대) |
B2-1
인공지능의 드론 적용 현황 및
전망
김성필 대표이사(㈜ 제이마플) |
C2-1
착용형 AR기기를 위한
Eyewear 디스플레이 기술동향
염지운 선임(KETI) |
D2-1
건축 에너지와 AI
박철수 교수(서울대) |
E2-1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기술
성낙명 팀장(KETI) |
|
14:00-14:20 | A2-2
양자암호통신 기술 현황과
전망
김형수 팀장(KT) |
B2-2
안티드론 기술 동향
안재영 단장(ETRI) |
C2-2
개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제작스튜디오 플랫폼 서비스
성인호 이사(SJ Technology) |
D2-2
에너지 클라우드화
홍준희 교수(가천대) |
E2-2
대구시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이경준 PM(SKT) |
|
14:20-14:40 | A2-3
신뢰성 있는 AI의 필요성
이상근 교수(고려대) |
B2-3
드론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음성 방향 탐지 기술
고종환 교수(성균관대학교) |
C2-3
플랜트산업에서의 XR 솔루션
고도화
하태진 대표(버넥트) |
D2-3
건물에너지 스마트 센서 기술
및 데이터 활용
지영민 책임(KETI) |
E2-3
시흥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사례 소개
김경훈 PM(KT) |
|
14:40-15:00 | A2-4
드론 비행제어 관련 보안 기술
송문섭 대표((주)더피치) |
B2-4
한국 드론 교통관리체계 현황과 향후과제
김송주 팀장(항공안전기술원) |
C2-4
공공시설물 운영관리를 위한 XR 확장형 디지털트윈 솔루션 구축 사례
전지혜 대표(스탠스) |
D2-4
ICT 기반 환경 관리 기술
융합연구동향
이주영 박사(KIST) |
E2-4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추진
현황
황귀현 본부장(스마트도시협회) |
|
15:00-15:20 | A2-5
의료사물인터넷(IoMT) 보안
기술 및 동향
권혁찬 책임연구원(ETRI) |
B2-5
드론 배송 서비스 현황 및
발전방향
정훈 센터장(ETRI) |
C2-5
B2N (Bussiness to N-)형
안경방식 AR 디바이스의 필수
핵심기술
이광훈 센터장(한국광기술원) |
D2-5
실내 공기질·에너지 통합 관리
기술 동향
김상복 박사(한국기계연구원) |
E2-5
부산에코델타시티와 스마트시티 서비스
전용주 대표이사(㈜디토닉) |
|
15:20-15:40 | A2-6
탈 중앙화 및 자기주권 개념의
신원 증명을 위한 DID 적용 사례 소개
김영진 이사(드림시큐리티) |
B2-6
운영자-드론 간 인터페이스
기술 동향
김상호 교수(건국대) |
C2-6
문화기술 연구개발 동향
신춘성 교수(전남대) |
D2-6
DNA 기반 전기 안전 기술 개발
동향
안윤영 박사(ETRI) |
E2-6
부천이 도전하는 스마트도시
김경희 스마트시티담당관(부천시) |
|
15:40-16:00 | Break | |||||
16:00-17:00 | [Special Session 2] 좌장: 이용태 단장(ETRI) | |||||
16:00-16:30 | S2-1 일상생활 속에서 만나는 NAVER AI의 현재 그리고 미래하정우 연구소장(네이버) | |||||
16:30-17:00 | S2-2 미래통신(5G+/6G), 어떻게 할 것인가? 방승찬 소장(ETRI) | |||||
17:00-17:10 | 개회식 | |||||
17:10-17:40 | [Keynote speech 2] 좌장: 이규복 부원장(KETI) | |||||
17:10-17:40 | 기조강연2 디지털 뉴딜과 혁신성장 문용식 원장(NIA) |
2021년 3월 18일 (목) | |||||||
---|---|---|---|---|---|---|---|
Track F: 스마트공장 |
Track G: 의료/건강 | Track H: 자율주행/교통·항만 |
Track I: 아쿠아팜/스마트농장 |
Track J: 국방/안전 |
|||
10:00-11:00 | [Special Session 3] 좌장: 임승옥 본부장(KETI) | ||||||
10:00-10:30 | S3-1 공공형 디지털헬스케어의 성과와 추진전략 조인성 원장(한국건강증진개발원) | ||||||
10:30-11:00 | S3-2 ICT 융합기술의 현황과 사회문제해결 전략 김연배 총괄PM(IITP) | ||||||
11:00-11:20 | Break | ||||||
11:20-12:20 | Track F1 좌장: 신준호 책임(KETI) |
Track G1 좌장: 임유진 교수(숙명여대) |
Track H1 좌장: 임태범 본부장(KETI) |
Track I1 좌장: 김연중 책임(한국농촌경제연구원) |
Track J1 좌장: 박혜숙 실장(ETRI) |
||
11:20-11:40 | 11:20 - 11:50 | F1-1
경기반월시화 스마트그린 산단의 데이터댐 구축 및 디지털 전환 전략
조병걸 단장 (경기반월시화스마트산단사업단) |
G1-1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의
정밀진단 활용 현황 및 전망
송길태 교수(부산대) |
11:20 - 11:50 | H1-1
자율자동차 시대에 따른 경찰의 대응전략
이창민 경정(경찰청) |
I1-1
디지털농업의 연구개발 방향
강금춘 스마트팜개발과장(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J1-1
국방 무기체계 AI모델의
소프트웨어 신뢰성 확보 연구
유승우 팀장(ADD 방산지원센터) |
11:40-12:00 | G1-2
Dr. AI 기술 개발
최재훈 책임(ETRI) |
I1-2
한국형 스마트 양식 방향과 과제
마창모 수산정책연구실장(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
J1-2
과학기술을 활용한 SMART
재난안전관리 현황 및 향후 계획
김지은 사무관(행안부) |
||||
11:50 - 12:20 | F1-2
디지털 트윈 표준 동향
- 자산관리쉘(AAS)
기술 중심으로
최동학 국가표준코디네이터/부회장 (국가기술표준원/한국산업지능화협회) |
11:50 - 12:20 | H1-2 가상환경기반의 자율주행차량용 인지, 판단, 제어 검증 SW 솔루션
민경원 팀장(KETI) |
||||
12:00-12:20 | G1-3
Clinical NLP 기술 동향
이병기 수석(삼성서울병원) |
I1-3
디지털시대 농축수산 ICT융합
기술 개발 방향
정득영 책임(IITP) |
J1-3
과학기술을 활용한 치안분야 연구개발 추진 방향
조현진 연구개발기획계장(경찰청) |
||||
12:20-13:40 | Break | ||||||
13:40-14:40 | [Special Session 4] 좌장: 최용훈 교수(광운대) | ||||||
13:40-14:10 | S4-1 AI 기반 신약 개발 김화종 센터장(AI신약개발지원센터) | ||||||
14:10-14:40 | S4-2 뇌파를 이용한 포스트 코로나시대 우울증 진단 이승환 교수(인제대/일산백병원, 비웨이브 주식회사 대표) | ||||||
14:40-15:00 | Break | ||||||
15:00-17:00 | Track F2 좌장: 신준호 책임(KETI) |
Track G2 좌장: 박재성 교수(광운대) |
Track H2 좌장: 권기원 단장(KETI) |
Track I2 좌장: 여현 교수(순천대) |
Track J2 좌장: 김기형 교수(아주대) |
||
15:00-15:20 | F2-1
스마트공장을 위한 무인이송
로봇 AMR 기술 신명찬 책임(엔스퀘어) |
G2-1
정밀 의료를 위한 딥러닝 기반
의학영상 분석 김휘영 교수(연세대) |
15:00 - 15:25 | H2-1
AI융합 자율주행 자율주행시스템 최정단 본부장(ETRI) |
I2-1
AI기반 스마트팜 기술개발
현황 김현태 교수(경상대) |
J2-1
재난안전 감지 기술 현황 및
발전 방향 박소영 기술총괄(ETRI) |
|
15:20-15:40 | F2-2
산업 AI 전문인력 양성 사례 정태수 교수(고려대) |
G2-2
개인 정보 침해 없는 다수
기관의 임상자료 분석 기술 박래웅 교수(아주대) |
15:25 - 15:50 | H2-2
자율주행 운영설계 범위 기반 실도로 실증 평가 방법론 윤경수 실장(KIAPI) |
I2-2
농업 스마트 에너지 기술 개발 동향 윤남규 농업연구관(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J2-2
ICT와 AI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안전 플랜트 발전 방향 신동일 부회장/교수 (한국위험물학회/명지대) |
|
15:40-16:00 | F2-3
프로세스 마이닝 기반의 공정 최적화 방안 송민석 교수(포항공과대) |
G2-3
Cell-ICT 핵심기술 국산화
플랫폼 개발 김형진 센터장(구미전자정보기술원) |
15:50 - 16:15 | H2-3
자율주행 기술의 현재와 미래 계동경 대표(토르드라이브) |
I2-3
가축질병 방어를 위한
안전축사 기술 개발 현황 김세한 실장(ETRI) |
J2-3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화재·구조·구급)대응 방안 최갑용 119 빅데이터 팀장(소방청) |
|
16:00-16:20 | F2-4
Smart Factory Solution 내 5G기술요소활용 최용득 매니저(SK텔레콤) |
G2-4
능동 개인맞춤 스트레처블
광융합 헬스케어 기술 사기동 센터장(한국광기술원) |
16:15 - 16:40 | H2-4
글로벌 스마트항만의
발전단계와 향후
발전방향 송상화 교수(인천대) |
I2-4
축산용 로봇의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및 방향 최영경 대표((주)다운) |
J2-4
군집 운용을 위한 초소형 로봇
융합기술 개발 방향 유재관 소장(LIG넥스원) |
|
16:20-16:40 | F2-5
증강현실 기반의 원격협업 솔루션 활용 사례 박근영 팀장(VIRNECT) |
G2-5
액체생검기반 정밀 진단
기술 개발 및 동향
김성은 선임(KETI) |
I2-5
디지털트윈 기반 아쿠아팜 기술개발 방향 조성균 책임연구원(ETRI) |
J2-5
사례 중심의 국방 ICT 기술
발전 방향 정종문 교수(연세대) |
|||
16:40-17:00 | F2-6
XR 기반 제조설비 디지털
운영시스템 구축 김현식 책임연구원(KETI) |
G2-6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빅데이터와 임상적 활용 고윤희 교수(한국외대) |
16:40 - 17:05 | H2-5
자율주행을 위한
C-V2X 통신 기술 임기택 센터장(KETI) |
I2-6
스마트팜 국내외 표준현황 이명훈 교수(순천대) |
J2-6
지능형 전장인식 서비스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우신 수석(한화시스템) |